본문 바로가기
육 아 일 기

아이의 '정서지능'을 키우는 3가지 방법

by U Chance Papa 2022. 12. 20.

아이와 이야기를 하면서 길을 지나거나 식당에서 식사할 때면, 

주변 어르신들께서 '아이가 말을 이쁘게 참 잘하네~'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존댓말을 잘하고 하고싶은 말을 또박또박해서 그러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어요. 

처음보시는 분들께서 하시는 말씀에 다른 분들이 보시기에도 그런가보다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아이가 쓰는 존댓말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니 정서지능과 관련이 있더라구요. 

 

베이비뉴스(ibabynews.com)에 따르면, 

존댓말은 '상대에 대한 존중의 마음을 표현하는 화법'이라고 합니다. 

유아기 아이들의 존댓말은 정서지능을 유능하게 쓰는 능력이라고 해요. 

그렇다고 만 4세 아들이 이걸 알고 쓰는 건 아닌거 같은데...

그래도 어른들에게 말할 때는 존댓말을 곧잘 사용해서 기특하기는 해요. 

 

<아이의 뇌를 깨우는 존댓말의 힘>에서 존댓말의 좋은 점에 대해 

1. 존댓말은 전두엽을 발달시킵니다. 

2. 존댓말은 언어를 관장하는 측두엽을 발달시킵니다. 

3. 존댓말은 전뇌(全腦)를 발달시킵니다. 

4. 존댓말은 언어와 인지발달의 잠재력을 실제적으로 끌어올려 줍니다. 

등 존댓말의 사용이 뇌의 활용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책을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여기에서는 구체적이고 간략하게 

아이의 정서지능을 키울 수 있는 3가지 방법을 소개해드려고 합니다. 

 

첫째, 감정을 표현하는 건전한 방법 알려주기  

아이가 경험하고 있는 감정을 식별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이것은 아이가 건강한 방식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아직 마음 속에서 나타나는 내면의 변화에 대한 이름을 모른다면, 

그것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도 모를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질문을 통해 아이의 마음을 식별하고, 그 마음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아이의 감정을 억누르도록 가르치지 마세요.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도록 편안하게 해주고, 감정표현을 허용해주세요.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가 괜찮다가 '갑자기' 폭력적 행동을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닌, 

그 동안 여러 상황에서 억눌렸던 감정과 좌절감, 분노 등

다양한 감정이 순간이 표현될 때가 더 많습니다. 

 

이와 관련해, Elitr assignment 교육자인 Natalie Anderson은 

"아이들이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을 부수거나 울화통을 터트리는 대신

표현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이 마음의 목소리를 내고 말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편안함을 느끼는 것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열쇠"라고 해요. 

부모님은 아이에게 감정표현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장려해주라고 당부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는 성숙한 정서지능을 형성하고, 향상에도 도움을 줍니다. 

 

 

둘째, 감정을 확인하고 공감하기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지 마세요. 아이의 감정을 확인하고 공감해주세요. 

아이가 힘들거나 압박을 받는 감정을 경험하고 있을 때, 

'울지마라' 또는 '별일 아니다'라는 무심한 말로 아이의 감정을 무시한다면, 

오히려 아이에게 자신의 감정이 잘못되었다고 가르치는 것과 같습니다.

 

'State of writing review and Revieweal'의 심리학 작가인 Charlottr Smith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있다고 느낄 때 행동을 하기 보다는 

자신이 겪고 있는 일을 말로 설명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하며, 

아이가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해주고, 감정을 확인하고, 공감해주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정서적,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고 해요. 

 

 

셋째,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효과적인 방법 안내해주기 

부모로서 아이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충동이 클 수 있습니다. 저도 그렇지요.

그런데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은 정서적,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열쇠라고 합니다. 

 

부모님이 문제를 해결해주는 대신 아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안내해주세요. 

아이가 직접 문제해결을 위한 몇 가지 해결책을 생각해 내도록 돕고 협력해주세요. 

아이 스스로 해결책을 찾고 실행하면서 최적의 행동이 무엇인지 식별하도록 돕는 거죠. 

아이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의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갖게 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앞으로 삶의 다양한 문제에 대하여 스스로 대비할 수 있게 됩니다. 

 

 

정서지능은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특히 핀란드와 프랑스 등 자기주도적 학습이 뛰어난 아이로 키우는 나라에서는 

정서지능 향상과 적극적인 감정표현에 많은 시간을 들이며 노력합니다. 

이는 아이의 삶 전반의 자신감과 자존감이라는 선물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해요. 

 

 

저를 포함한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해 노력하며,

아이들은 행복한 삶을 살아가길 바랍니다. ^^ 

 

댓글